부산 시애틀 무탄소항로…글로벌 해양 중추국가?

Last Updated :

해양수산부의 주요 성과와 향후 계획

해양수산부는 윤석열 정부의 임기 반환점을 맞아 그동안 달성한 주요 성과와 다양한 향후 계획을 발표했다. 특히, 수산물 소비자물가지수의 상승률이 1.4%로 안정적으로 관리되고 있으며, 해운산업 분야에서도 세계 4위의 위치를 확보하고 있다. 이러한 성과들은 해양수산부의 지속적인 노력과 정책의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앞으로 해수부는 지속 가능한 수산업과 글로벌 해양수산 중추국가로의 도약을 목표로 여러 가지 과제를 추진해 나갈 방침이다.

민생 안정 및 약자 복지 강화 정책

해양수산부는 민생 안정과 취약계층의 복지 강화를 위한 다양한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특히 수산물의 물가안정을 위한 노력과 해역 및 수산물 안전관리가 주된 정책으로 삼아져 있다. 국민의 장바구니 부담을 줄이기 위해 적절한 수급 관리를 시행하고 있으며, 할인 행사 등 다양한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 김과 고등어 등의 일부 품목 물가 상승에 대응하여 비축수산물 방출 등의 조치를 취하고 있다.
  • 2700ha 규모의 신규 양식장 개발로 김 생산을 확대하고 있다.
  • 취약 지역 주민을 위한 다양한 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해운산업 및 항만의 재도약을 위한 기반

해운산업과 항만의 재도약을 위한 기반 역시 중요한 목표 중 하나이다. 해수부는 지속적인 지원과 투자를 통해 해운산업의 성장을 도모하고 있으며, 그 결과 해상수송력이 1억 톤을 넘어섰다. 부산항신항 제7부두의 완전 자동화가 이루어지는 등 세계적 수준의 항만 인프라를 갖추기 위한 사업이 추진되고 있다.

해양주권 확립 및 원활한 해상교통 여건 조성

해양주권 확립을 위한 노력 역시 강조되고 있다. 해수부는 중국어선의 불법조업을 단호하게 대응하여, 불법조업 건수가 5년 전에 비해 약 48% 감소한 성과를 보였다. 해양영토 정보 통합 관리를 위해 최초로 국가해양지도집을 발간했다.

지속 가능한 수산업으로의 전환

전환 내용 적용 연도 기대 효과
어업규제 50% 철폐 2028년 어획량 관리 체계 전환
스마트양식 클러스터 확장 2027년 생산비용 절감 및 생산성 향상
수산물 수출 5조 원 목표 2027년 글로벌 시장 주도권 확보

해양수산부는 이러한 목표를 통해 수산업을 보다 지속 가능하게 만들기 위해 여러 가지 확장 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신규 어획 한도의 확대와 어업기술 발전을 통해 양식업의 생산성을 개선하고, 경영 및 소득 안전망을 더욱 강화하여 기후변화에 대응하고자 한다.

해양 교육 및 관광의 활성화

해양 교육과 관광을 통해 국민 누구나 쉽게 해양 자원을 이용할 수 있도록 정책을 적극 추진한다. 해양에서 발생하는 쓰레기의 약 75%를 차지하는 버려지는 어구에 대한 관리 방안을 마련하고 있으며, 해양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과학적 정보를 제공할 계획이다.

미래 세대와 깨끗한 바다

향후 지속 가능한 해양 생태계를 위해 다양한 노력이 필요하다. 해양경관 보호와 함께 기후 변화로 인한 해양 자원의 더 큰 피해를 예방하기 위한 대응책 마련이 필수적이다. 해양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미래 세대에게 깨끗한 바다의 중요성을 교육할 예정이며, 이는 장기적인 해양 환경 개선으로 이어지게 될 것이다.

글로벌 해양수산 중추국가로의 도약

해양수산부는 향후 여러 국제회의와 협력을 통해 글로벌 해양수산 중추국가로의 지위를 강화할 계획이다. 부산에서 열리는 해양 분야 정상급 행사를 통해 해양 문제 해결을 위한 노력과 외교적 관계를 더욱 확장할 예정이다.

마무리 발언 및 향후 계획

강도형 해양수산부 장관은 “윤석열 정부 후반기에도 해수부는 민생·경제 현안을 적극적으로 해소하고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실질적인 성과를 만들어 나가겠다”라고 밝히면서 국가의 미래를 위한 비전을 제시했다. 국정 기조인 글로벌 해양수산 중추국가 도약을 위해 만전을 기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자주 묻는 숏텐츠

수산물 소비자물가지수의 상승률은 어떻게 되나요?

수산물 소비자물가지수의 상승률은 1.4%로,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인 2.5%에 비해 안정적으로 관리되고 있습니다.

해양수산부가 추진하고 있는 주요 미래 계획은 무엇인가요?

해양수산부는 세계 최초로 태평양 횡단 무탄소 항로 구축, 어업규제 50% 철폐, 수산업 5조 원대 수출산업 육성 등을 추진하고 있으며, 해외 물류거점을 8곳으로 확대할 계획입니다.

해양수산부의 해운산업과 항만의 최근 성과는 어떤 것이 있나요?

해양수산부는 지난해 해상수송력 1억 톤을 돌파하고, 3014만 TEU의 컨테이너를 처리하여 세계 4위 해운강국으로 도약했으며, 부산항신항 제7부두를 국내 최초로 완전 자동화 항만으로 개장한 성과를 이뤘습니다.

2026 수능

숨은 보험금

체코 방문

보라 보라

그린랜드

부산 시애틀 무탄소항로…글로벌 해양 중추국가?
부산 시애틀 무탄소항로…글로벌 해양 중추국가? | 개인은행 : https://bank.pe.kr/2602
개인은행 © bank.pe.kr All rights reserved. powered by modoo.i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