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식품부, 청상추·시금치 가격 하락에 안정세 선보여
농식품부 보도자료 분석 및 해석
최근 농식품부에서 발표한 보도자료에 따르면 청상추와 시금치의 가격이 상승하고, 당근의 가격도 상승하는 등 채소류의 가격 변동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채소류 가격 변동
채소류 가격은 전반적으로 하향 안정세이며, 여름철 가격이 높은 청상추와 시금치의 6월 중순 도매가격은 지난해 대비 각각 25.1%, 11.6% 낮은 수준이었습니다. 2월 잦은 강우에 따른 일조량 부족 등으로 생산이 감소하여 가격이 높았던 채소류는 4월 이후 일조량 증가 및 출하지역 확대 등으로 전반적으로 하향 안정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청상추와 시금치는 고온에 취약한 채소로서 통상적으로 여름철에 가격이 상승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따라서 청상추와 시금치 가격은 통상 전년 동기로 비교를 하는데, 지난해 6월 중순보다는 각각 25.1%, 11.6% 낮은 수준입니다.
당근 가격 변동
당근은 봄당근 작황이 부진하여 가격이 다소 높은 상황이었습니다. 그러나 수입 공급을 늘리고 있고, 여름당근 재배면적도 증가하여 수급은 점차 안정될 전망입니다. 저장 겨울당근의 품위 저하로 출하가 조기 종료되고, 봄당근의 면적 감소 및 작황 부진으로 가격이 높은 상황입니다. 따라서 봄당근의 저장량도 전년 대비 10% 정도 감소하여 8월까지는 공급 부족이 지속될 전망입니다. 이에 농식품부는 여름철 공급 부족에 따른 식품·외식업체의 부담 경감을 위해 9월 말까지 할당관세를 적용하여 해외 공급을 확대할 계획이며, 9월부터 출하되는 여름당근의 재배면적은 전·평년 대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당근 수급 여건도 점차 안정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사과 출하 감소
6월 사과 출하량이 지난해보다 감소한 이유는 강풍·잦은 강우 때문이 아니라 지난해 생산량이 감소하였기 때문이며, 올해 사과의 생육 상황은 전반적으로 양호합니다. 사과의 6월 이후 출하량은 18.6천 톤으로 전년 대비 21.3% 감소한 수준이었습니다. 이는 올해 일부 지역의 강풍과 잦은 강우로 수정률이 감소하였기 때문이 아니라 지난해 봄철 냉해 등 기상재해로 사과의 생산량이 감소하였기 때문이며, 올해 사과의 생육 상황은 전년 대비 전반적으로 양호합니다.
- 청상추와 시금치의 6월 중순 도매가격은 각각 지난해 대비 25.1%, 11.6% 낮은 수준
- 당근의 가격이 다소 높은 상황이지만, 여름당근 재배로 수급은 점차 안정될 전망
- 여름당근의 재배면적은 전·평년 대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당근 수급 여건도 점차 안정될 것으로 전망
- 6월 사과 출하량은 전년 대비 21.3% 감소한 수준이며, 올해 사과의 생육 상황은 양호
- 봄당근 재배면적(KREI) : 940ha(전년비 1.8%↓, 평년비 1.0%↓), 봄당근 저장의향(KREI) : 전년비 14.8%↓, 평년비 9.6%↓
- 여름당근 재배(의향)면적(KREI, ha) : 419ha (전년비 8.9%↑, 평년비 9.2%↑)
자주 묻는 질문 FAQ
질문 1. 청상추와 시금치의 가격 변동에 대해 알려주세요.
답변1. 청상추와 시금치의 6월 중순 도매가격은 전년 대비 25.1%, 11.6% 낮은 수준으로 하락하였습니다. 가격 변동은 여름철에 가격이 높은 채소로 알려진 청상추와 시금치에 있어서는 이례적이며, 이는 2월 잦은 강우에 따른 일조량 부족 등으로 생산이 감소하여 가격이 높았던 채소류가 4월 이후 일조량 증가 및 출하지역 확대 등으로 인해 전반적으로 하향 안정세를 보였기 때문입니다.
질문 2. 당근의 가격 변동과 수급에 관한 정보를 알려주세요.
답변 2. 당근의 가격은 1kg에 3378원으로 전월보다 10.6%, 전년 같은 기간보다 60.6% 상승하였으며, 수입 공급을 늘리고 있고, 여름당근 재배면적도 증가하여 수급은 점차 안정될 전망입니다. 그러나 봄당근의 면적 감소 및 작황 부진으로 가격이 높은 상황이며, 8월까지는 공급 부족이 지속될 전망입니다.
질문 3. 올해 사과 출하량 감소 이유와 생육 상황에 대해 알려주세요.
답변3. 올해 사과 출하량이 감소한 이유는 강풍과 잦은 강우가 아니라 지난해 생산량이 감소하였기 때문입니다. 올해 사과의 6월 이후 출하량은 18.6천 톤으로 전년 대비 21.3% 감소한 수준으로, 올해 사과의 생육 상황은 전반적으로 양호하나 일부 지역의 기상재해로 지난해 봄철 냉해 등으로 사과의 생산량이 감소하였기 때문입니다.